의정부는 부대찌개말곤 뭐 없나?

의정부는 부대찌개말곤 뭐 없나? 의정부는 서울과 경기 북부를 잇는 관문으로, 경기 북부의 핵심 도시다. 하지만 의정부를 대표하는 이미지는 미군 부대와 부대찌개 등 한국전쟁에서 비롯된 이미지가 주를 이룬다. 컬링장과 음악·미술도서관 등 신흥 관광 자원이 있지만, 전통적인 자연 관광 자원의 부재로 의정부를 찾는 외지인 가운데 관광 목적의 방문객은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에 부대찌개에 버금가는, 의정부의 관광 자원을 발굴하여 의정부의 지역 활성화의 초석을 다지고자 백만원실험실 ‘의정부뽕 프로젝트’ 송재용 실험지기가 나섰다. 그는 “의정부 관광과 연계한 지역 활성화가 가능한 지역 자원을 만들고 싶었다”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 자원을 발굴하여 스토리텔링의 단초를 만드는 과정이 필요했다”며 실험의 계기를 설명했다. 송재용 실험지기는 작년 백만원실험실에서 보드게임을 통해 누구나 의정부를 친근하게 여기고, 의정부의 여러 명소를 알릴 수 있는 ‘의정부로-마블’이라는 보드게임을 만들었다. 의정부로-마블은 현재 의정부 관내 초등학교 30여 곳에서 사회과목 내 의정부학 교보재로 사용 중이다. 의정부 자원을 발굴하고자 하는 그의 열정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이번 백만원실험실에서는 의정부 시민도 잘 모르는 의정부의 명소와 유적 정보를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유레카”백만원실험실을 진행하다 ‘유레카’를 외쳤다는 송재용 실험지기, 유레카의 의미를 물어보기 위해 그를 만나보았다. 의정부뽕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의정부는 부대찌개 말곤 뭐 없나?’ 하는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의정부 시민조차 낯설게 여기는 의정부만의 자원을 찾기 위해 먼저 자료를 통한 자원 발굴이 필요했고 다음 단계로 그 자원을 활용한 이야기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실험에 접근했습니다. 단계별로 접근 방식을 나누었는데 첫째는 원데이트립(one-day trip)용 자원(레고, 공룡화석, 한과, 우유갑 화장실 등)이었고, 둘째는 대외 스토리텔링용 자원(민락동 유적, 북관대첩비, 의정부 촬영소 등)으로 나누었습니다. 자원 선정 기준은 ‘최대한 대중에 익숙하지 않을 것’과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도록 인물, 사건, 배경’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습니다. 지난 8월 백만원실험실 O/T에서부터 시작하여 ‘2023 블랙뮤직페스티벌’과 ‘제1회 충의공예술제’에서 100여 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원데이트립과 대외 스토리텔링용 자원을 배치한 판넬을 이용해 의정부를 알릴 수 있는 자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유레카를 외친 이유는요?여러 자료를 찾는 와중에 1994년에 의정부 민락동에서 발굴된 흑요석제 석기 등 '구석기 시대' 유적이 출토되었다는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아마 들어본 사람이 거의 없을 거예요. 발견된 석기는 850㎡ 정도의 범위에 걸쳐 40여 점의 흑요석, 혼펠스 및 수정제 '좀돌날 몸돌' 등이 나왔습니다. 즉, 이곳 의정부에서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이 석기를 제작했다는 말씀. 의정부에서 최초 인간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는 중요한 정보죠. 무려 1만 년 전에 사람이 살았던 의정부 유적지는 지금, 아쉽게도 아파트 건설을 위해 멸실되었습니다. 표지판 하나쯤은 놔두지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래도 의정부에 이렇게 소중한 옛 시대의 이야기를 발견하게 되어 개인적으로도 뿌듯하고, 많은 사람에게 알리고 싶습니다. '의정부뽕 프로젝트'라는 실험명의 의미는 무엇인가요?‘국뽕’이 자국이 최고라는 의미처럼, 여러 자원을 가진 의정부에 대한 자부심을 담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계획 의정부만의 소중한 자원이 발견되어도 관심있는 분이 많지는 않을 것입니다. 저는 이것을 어떻게 스토리텔링으로 엮어 지역 활성화를 이루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 많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자원을 주제로 쓴 동화책을 염두에 두어 의정부 거주 삽화가와 동화책 출판을 위한 여러 이야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의정부 스타듸오’라는 복합문화 뻘짓공간을 계획 중입니다. 의정부 스타듸오는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의정부 촬영소’라는 영화 촬영 종합 스튜디오의 이름입니다. 국내 최초의 영화 촬영소가 있었던 지역인 만큼 의정부가 다시 복합문화공간으로 이미지를 도약하는 길이 열리길 바랍니다.

2023의정부문화도시 MAGAZINE U

logo
LOG IN 로그인
  • HOME
    • 의정부문화도시에디터
      • 매거진 U
        • CONTACT

          2023의정부문화도시 MAGAZINE U

          logo
          • HOME
            • 의정부문화도시에디터
              • 매거진 U
                • CONTAC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2023의정부문화도시 MAGAZINE U

                  logo

                  2023의정부문화도시 MAGAZINE U

                  logo
                  • HOME
                    • 의정부문화도시에디터
                      • 매거진 U
                        • CONTAC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2023의정부문화도시 MAGAZINE U

                          logo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